철길에 얽힌 만물의 이야기

철길과 관련된 세상 만물의 이야기를 담아보겠습니다

철도/수도권 95

[이번역은] 강동 강동구청역 | 천호옛길? 강동이라는 도시의 변천!

다녀온 날: 2017.01.21 서울도시철도 8호선 강동구청역 | 역번호 812 | 서울 강동구 올림픽로 (성내동) 소재 1999.07.02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ㅁ) | 출구 5개소 현재 강동구청역에는 강동구청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된 이상 강동구, 그 중 천호,성내동 일대에 관한 이야기를 해야겠습니다. S#.1 이번역은 서울특별시 강동구 성내동에 위치한 강동구청, 강동구청역입니다. ◈강동구청역 승강장 강동구청역 승강장. 8호선의 6량 승강장으로 짧지만, 크게 느껴지지는 않네요. 역 내부는 평범한 편. ◈ 했갈리셨죠? 이 곳이 진정한 성내동입니다. 근처에 있는 강동구청에 지명이 묻혔지만, 이 지역의 이름은 성내동입니다. 아 그 2호선에 있던 역 이름이 성내 아니였나요? 라고 물으시..

철도/수도권 2020.03.09

[이번역은] 강동 암사역 | 8호선 종점 구경 (8호선 건설사)

다녀온 날: 2017.01.21 서울도시철도 8호선 암사역 | 역번호 810 | 서울 강동구 올림픽로 (암사동) 소재 1999.07.02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ㅁ) | 출구 4개소 지하철을 타면서 늘상 보게 되는 곳이지만, 막상 가기는어려운 곳이 종점이다. 필자가 대신 가 드린다. 이번에 소개할 곳은 8호선의 종점, 암사역이다. S#.1 이번역은 서울시 강동구 암사동에 위치한 암사, 암사역입니다. ◈ 암사동 이모저모 천호역에서 버스를 타고 암사역이 있는 암사역사거리에 도착했습니다. 천호역에서 내리기 시작한 가루눈이 싸리눈으로 거세졌어요. 아직 오후 3시밖에 되지 않았았지만 하늘은 어두워 초저녘을 보는 것 같은 그런 기분입니다. 상암로와 올림픽로, 두개의 4차선 도로가 교차하는 교차점입니다...

철도/수도권 2020.03.09

[이번역은] 강동 천호역 | 풍납토성, 무지 속 벌어진 수난

다녀온 날: 2017.01.21 서울도시철도 5호선 천호(풍납토성)역 | 역번호 547 | 서울 강동구 천호대로 (천호동) 소재 1995.11.15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ㅁ) | 출구 10개소 서울도시철도 8호선 천호(풍납토성)역 | 역번호 811 | 서울 강동구 천호대로 (천호동) 소재 1999.07.02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ㅁ) | 출구 0개소 한민족의 수도 서울. 한반도 제1도시 서울은 2000년 전부터 백제의 수도로 역할을 다 해 왔던 유서깊은 곳입니다. 지금의 서울의 중심하면 종로, 아님 강남일대일 것입니다. 하지만. 2000년 전에는 조금 달랐습니다. 제가 서 있는 이 곳, 송파구 일대가 서울의 중심이였거든요. 그리고 이 곳에는 이천년전 벡제와 현재 2020년을 ..

철도/수도권 2020.03.09

[이번역은] 강동 강동역 | 5호선의 갈림길을 찾아서 (5호선 건설사)

다녀온 날: 2017.01.21 서울도시철도 5호선 강동역 | 역번호 548 | 서울 강동구 천호대로 (천호동) 소재 1995.11.15 개업 | 2 승강장 3타는곳, ㅁ||ㅁ|) | 출구 5개소 5호선은 다른 지하철 노선과 다른 특이한 점이 있습니다. 바로 두 행선지의 열차가 번갈아 온다는 점이죠. 각각 상일동행과 마천행입니다. 이 두 열차가 갈라지는 곳이 바로 이번역인 강동역입니다. 이번역에서는 이 '갈라지는 곳'에 대한 이야기를 찾아 나누어 보겠습니다. S#.1 이번역은 강동구 천호대로상에 위치한 강동, 강동역입니다. ◈ 천호대로와 강동역 외부모습 시내버스를 타고 강동역에 내렸습니다. 내리자 마자 촬영한 1번출구는 공사중입니다. 천호역은 천호대로 상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천호대로는 하남과 서울 도심..

철도/수도권 2020.03.08

[이번역은] 동두천 동두천중앙역 | 동두천의 중심은 어디?

다녀온 날: 2017.05.03 수도권전철 1호선 (경원선) 동두천중앙역 | 역번호 103 | 경기 동두천시 동두천로 (생연동) 소재 2006.12.15 개업 | 2 승강장 4타는곳, |ㅁ||ㅁ|) | 출구 1개소 동두천 중앙역. 동두천의 중앙인가요? 그런데 동두천역은 또 뭐죠? S#.1 이번역은 동두천시 생연동에 위치한 동두천중앙, 동두천중앙역입니다. 보산역에서 버스를 타고, 제가 도착한 곳은 동두천중앙역 서편(1번출구) 앞이였습니다. 1번출구는 평화로(3번국도)가 아니라 동두천로 상에 있습니다. 동두천중앙역과 동두천로 사이가 살짝 떨어져 있고, 그 사이에 보도불럭으로 구성된 공원이 있네요, 그리고 그 옆에는 동두천중앙역 고가 밑에 마련된 주차장으로 연결되는 도로도 보입니다. 그나저나 여기는 역 앞이라..

철도/수도권 2020.03.02

[이번역은] 동두천 보산역 | 미군도시였던 동두천,

다녀온 날: 2017.05.03 수도권전철 1호선 (경원선) 보산역 | 역번호 102 | 경기 동두천시 평화로 (보산동) 소재 2006.12.15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ㅁ) | 출구 1개소 대한민국은 분단국가입니다. 이 복잡한 역사로 인해 한국는 미군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좋든 싫든 말이죠. 그리고 이 미군이 주둔한 도시들은 미군들의 힘으로 성장해갔습니다. 용산, 오산, 그리고 지금 우리가 있는 동두천같은 곳들 말이죠. S#.1 이번역은 동두천시 보산동에 위치한 보산, 보산역입니다. 소요산역에서 탄 열차를 타고 두 정거장을 달려 저는 지금 보산역에 도착했습니다. 살짝 어두운 분위기이고, 스크린도어 공사가 한창인 모습이었습니다. 동두천역을 지난 경원선 철도는, 동두천 시내를 고가 철길로 통과..

철도/수도권 2020.03.02

[이번역은] 동두천 소요산역 | 1호선 종점은 시끌벅적한 간이역이었다

다녀온 날: 2017.05.03 경원선 소요산역 | 역명코드 0411 | 경기 동두천시 평화로(상봉암동) 소재 1975.12.23 개업 | 2승강장(2타는곳, ㅁ||ㅁ) | 출구 1개소 수도권전철 1호선 (경원선) 소요산역 | 역번호 100 | 경기 동두천시 평화로 (상봉암동) 소재 2006.12.15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ㅁ) | 출구 1개소 살면서 한번 쯤은 궁금해 보신 적이 있지 않으셨나요? 1호선 종점은 어떤 모습일지 말이죠. 지하철 노선도를 보면, 남색의 1호선이 지하철 노선도를 가로지르며 길게 뻗어 있고, 그 끝에는 각각 소요산역, 인천역, 신창역이 있습니다. 저는 이 지하철 노선도를 보면서 과연 종점은 어떤 모습일까 궁금했습니다. 그리고 방문했고, 이런 결론을 내릴려고요. "1..

철도/수도권 2020.03.02

[이번역은] 연천 신탄리역 | 종점을 역설하다

다녀온 날 2017.05.03 경원선 신탄리역 | 역명코드 0415 | 경기 연천군 신서면 고대산길 (대광리) 소재 1942년 12월 01일 개업 | 1승강장(2타는곳, ||ㅁ|) | 출구 1개소 종점은 기차, 버스, 전차 따위를 운행하는 일정한 구간의 맨 끝이 되는 지점을 이르는 말입니다. 수많은 기차, 버스 노선만큼 우리 주변에는 수많은 종점들이 있습니다. 한번 종점을 두 종류로 나누어 보겠습니다. 중심지에 있는 종점과, 한적한 도시 변두리에 있는 종점으로요. 보통 후자의 경우 전자와 달리 주변도 한적하고 중요성도 떨어져서 관심이 적은 지역입니다. 과연 그런 것일까요? S#.1 이번역은 연천군 신서면에 위치한 신탄리, 신탄리 역입니다. 백마고지역에서 통근열차를 타고 바로 한 정거장 떨어져 있는 신탄리..

철도/수도권 2020.03.02

[이번역은] 철원 백마고지역 | 흐릿한 꿈과 선명한 철길

다녀온 날 2017.05.03 경원선 백마고지역 | 역명코드 0738 | 강원 철원군 철원읍 평화로 (대마리) 소재 2012년 11월 20일 개업 | 1승강장(1타는곳) | 출구 1개소 그 다음 소원이 뭐냐는 세 번째 물음에도 나는 더욱 소리 높여서, "나는 우리 나라 대한의 완전한 자주 독립이요" 하고 대답할 것이다. - 백범 김구, 나의 소원, 백범일지 中 - 그 죽는 한 평생까지도 한반도의 통일을 이루기 위해 노력했던 백범 김구, 그의 이상은 지금 얼마나 이루어졌습니까? S#.1 이번역은 남한측 경원선의 종점인 백마고지, 백마고지역입니다. 이 역은 여러 재미있는 특징을 갖고 있는 역입니다. 느린 경원선 통근열차를 타고 북쪽으로 가다보면 나오는 종착역이거든요. 그러기에 일반인이 자유롭게 출입가능한 역..

철도/수도권 2020.02.27

[이번역은] 연천 신망리역 | 간이역의 새로운 희망

다녀온 날 2017.05.03 경원선 대광리역 | 역명코드 416 | 경기 연천군 연천읍 연신로 (상리) 소재 1956.08.21 개업 | 1승강장(1타는곳) | 출구 1개소 나무가 인상적이었던 대광리역에서 통근열차를 타고 도착한 곳은 신망리역! 하지만 통근열차의 교행이 연천에서 일어나기 떄문에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요, 그래도 열심히 둘러 보도록 하겠습니다! S#.1 "이번역은 새로운 희망의 마을인 신망리, 신망리역입니다." 신망리역에 도착했습니다. 이번 역은 간단한 승강장 하나를 갖고 있군요. 비록 간단한 승강장이라도 이 동네를 담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는 크기겠죠. 그 다음으로 승강장에 있는 신망리역의 역명판을 담아보았어요. 아, 그러면 신망리역의 유래는 행정구역 이름인 신망리에서 따왔겠구나 라..

철도/수도권 2020.01.26

[이번역은] 연천 대광리역 | 나무, 역, 그리고 위수지역

다녀온 날 2017.05.03 경원선 대광리역 | 역명코드 417 | 경기 연천군 신서면 연신로 (도신리) 소재 1912.10.21 개업 | 1승강장(2타는곳) | 출구 1개소 연천역 인근에서 잔치국수를 깔끔하게 해치우고 다시 답사를 개시합니다. 가쁜하게 연천군의 간선 노선인 39-2번 시내버스를 탔고, 도착한 역은 다름아닌 대광리역! S#.1 "이번역은 연천군 신서면에 위치한 대광리, 대광리역입니다" 버스에서 저를 내리니 마주하는 것은 신서면 면소재지입니다. 내리자 마자 큰 규모의 씨유 편의점, 파출소와 우체국이 줄지어 져 있습니다. 여러모로 초성리역의 청산면 소재지와는 확연히 다른 모습입니다. 심지어 지도를 보면 BBQ, 굽네치킨도 들어와 있습니다. 2019년 기준 청산면이 4012명, 신서면이 28..

철도/수도권 2020.01.26

[이번역은] 연천 연천역 | 한국전쟁의 중심, 통근열차의 중심

다녀온 날 2017.05.03 경원선 전곡역 | 역명코드 415 | 경기 연천군 연천읍 연천로 (차탄리) 소재 1912.07.25 개업 | 1승강장(2타는곳) | 출구 1개소 초성리역에 부랴부랴 열차를 탄 뒤, 차내 승차권을 끊고 달려 이곳 연천역에 하차했습니다. S#.1 "이번역은 통근열차의 교행이 이루어지는 연천, 연천역입니다." 단선철도의 묘미 중 하나는 교행입니다. 선로가 한 가닥이여서 열차를 양 방향으로 운행하기 위해서는 중간에 열차가 열차를 비켜줘야 하는데요, 그것을 바로 교행이라고 합니다. 연천역은 딱 경원선 통근열차 구간의 중심에 있기에, 유일하게 통근열차의 교행을 볼 수 있는 역입니다. 그래서 열차가 연천역에 들어오면, 무조건 두 열차가 들어와 승강장을 가득 메우게 됩니다. 열차 사이에 ..

철도/수도권 2020.01.26

[이번역은] 연천 초성리역 | 봄 향기 가득 간이역

다녀온 날 2017.05.03 경원선 초성리역 | 역명코드 412 | 경기 연천군 청산면 청신로 (청산리) 소재 1950.10.05 개업 | 1승강장(2타는곳) | 출구 1개소 여유롭게 한탄강역에서 53번 시내버스를 마주한 저는, 이 버스를 쭉 타고 내려와 초성리역에 도착합니다. S#.1 "이번역은 연천군 청산면 소재지에 위치하고 있는 초성리, 초성리역입니다" 초성리역은 말 그대로 초성리에서 따 온 역입니다. 특이하게도 '리'를 생략하지 않고 그대로 넣은 것이 특이합니다. 초성리역이 이름을 따온 초성리는, 말 그대로 근처에 '초성'이라는 성에서 따 왔다고 합니다. 이 초성의 정체에 대해서는 잘 나오지 않는데 아마 초성리산성일 겁니다. 여담이지만, 이 초성리산성이 검색해도 결과가 잘 안나오고, 남아있는 부..

철도/수도권 2020.01.25

[이번역은] 연천 한탄강역 | 작은 것들의 비극

다녀온 날 2017.05.03 경원선 한탄강역 | 역명코드 413 | 경기 연천군 전곡읍 한여울로 (전곡4리) 소재 1975.06.28 개업 | 1승강장(1타는곳) | 출구 1개소 전곡역에서 다시 통근열차를 잡다 탄 저! 하지만 다음에 내릴 이곳에는 전곡역보다 더 자리하고 있었으니... S#1. "이번역은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에 위치한 한탄강, 한탄강 역입니다." 한탄강역에 도착했습니다. 열차는 저를 내려주고 얼른 역 바로 앞의 한탄강을 한탄철교를 통해 유유자적 빠져나갑니다. 열차가 가는 방향으로 약간만 걸어가면 그 유명한 38도선 비석이 있습니다. 즉, 여기는 38도선 이북으로 한국전쟁 이전에 북한이였던 곳입니다! 그리고 이 역에 내리는 사람은 저와 의문의 가족 일행 하나, 총 두 일행이 내렸습니다. ..

철도/수도권 2020.01.25

[이번역은] 연천 전곡역 | 연천의 실질적 중심지

다녀온 날 2017.05.03 경원선 전곡역 | 역명코드 414 | 경기 연천군 전곡읍 전곡역로 (전곡리) 소재 1912.07.25 개업 | 1승강장(2타는곳) | 출구 1개소 S#1. "이번역은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에 위치한 전곡, 전곡역입니다." 드디어! 진정 간이역다운 간이역 출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입니다. 통근열차는 저를 듬성듬성 풀이 난 전곡역 승강장에 내려주고 떠나가는군요. 전곡역 승강장이란, 마치 현재에 서서 과거를 추억하는 듯한, 아담한 느낌이었습니다. 승강장에는 군데군데 봄기운을 받은 풀들이 자라 있었고, 살짝 흐릿해진 역명판과, 단순한 벤치. 그리고 통근열차가 3칸밖에 되지 않은 꼬마열차라는 것을 알려주는 3이라는 표지판까지. 간이역의 조건에 참 부합해 보입니다. 그래도 전곡읍 1만..

철도/수도권 2020.01.25

[이번역은] 동두천 동두천역 | 전철같은 두 열차의 출발역

다녀온 날: 2017.05.03 무언가 몇년전에 다녀온 일을 쓰려니 기억이 가물가물... 하지만 한번 해보도록 합니다. 수도권전철 1호선 (경원선) 동두천역 | 역번호 101 | 경기 동두천시 동두천동 평화로 소재 1912.07.25 개업 | 3 승강장 (6타는곳) | 출구 2개소 S#.1 "이번역은 동두천시 동두천동에 위치한 동두천, 동두천역입니다." 제가 타고 온 열차는 자연스럽게 동두천역에 도착합니다. 아침시간이여서 그런지 제가 타고 온 열차는 종점인 소요산까지 가지 않고 바로 전 역인 이 역, 동두천까지만 운행하는 열차였습니다. 제가 갔을 때 동두천역은 한창 스크린도어 공사중이었습니다. 예산 절감을 위해서인지 소요산 방면 열차가 서는 안쪽 승강장에만 설치중이군요. 아마 지금쯤에는 절찬리에 가동중이..

철도/수도권 2020.01.25

둔촌동역 | 마천지선 No.1 (5호선)

다녀온 날 : 2017.01.21 전 포스팅(올림픽공원역) > 현재 포스팅(둔촌동역) > 다음 포스팅(강동역) 둔촌동역 | 마천지선 No.1 (5호선 신정지선) 한줄 평 : 의외로 인원이 많은 역. 서울 도시철도 5호선(마천지선) 둔촌동역 ㅣ 역번호 P549 ㅣ 서울 강동구 성내동 소재 1996.03.30 영업시작 ㅣ 상대식 승강장(2타는곳 2선) ㅣ 출구 4개소 전 역인 올림픽공원역에서 신정지선(5호선) 열차를 탄 저는. 다음 정류장인 둔촌동역에 하차였습니다. 둔촌동. 뭔가 둔촌인지 돈촌인지 햇갈리는 건 저 뿐인가요?. 자꾸 이 역의 이름이 했갈리네요 혹여나 제가 가 돈촌동이라고 써도 이해해주시길 바랍니다. 다사실 .서울 올림픽 포스팅을 먼저 써야 하는데도 불구하고 이거 먼저 쓰고 있습니다. ㅎㅎㅎ 실..

철도/수도권 2018.08.11

올림픽공원역 | 9호선과의 환승역이 될 (5호선)

다녀온 날 : 2017.01.21 전 포스팅(용유역) > 현재 포스팅(올림픽공원역) > 다음 포스팅(둔촌동역) 올림픽공원역 | 9호선과의 환승역이 될(5호선 신정지선) 한줄 평 : 단순한 88홀림픽 역세권 서울 도시철도 5호선(마천지선) 올림픽공원역 ㅣ 역번호 P550 ㅣ 서울 송파구 방이동 소재 1996.03.30 영업시작 ㅣ 상대식 승강장(2타는곳 2선) ㅣ 출구 3개소 드디어 2017년입니다. 참 여기까지 오는데 오래 걸렸습니다. 근데 앞으로 밀린 역의 수를 생각하면 어휴... 더 분발해야겠습니다. 저는 1월 21일, 반나절 동안 서울 동남부 일대에서 출사를 진행했었습니다. 한 10개 역 정도를 둘러보았는데요, 하늘이 뿌옇고 눈까지 내렸습니다. 뭐 구체적인 내용은 차차 쓰기로 하고요, 먼저 제가 처..

철도/수도권 2018.08.09

용유역, 용유차량기지역 | 이곳은 환승역인가 (자기부상, 공항철도)

다녀온 날 : 2017.12.18 전 포스팅(워터파크역) > 현재 포스팅(용유역) > 다음 포스팅(올림픽공원역) 용유역, 용유차량기지역 | 이곳은 환승역인가 (자기부상, 공항철도) 한줄 평 : 바다를 볼 수 있어 좋았음 도시철도 인천공항자기부상철도 용유역 ㅣ 역번호 M06 ㅣ 인천 중구 운서동 소재 2016.02.03 영업시작 ㅣ 상대식 승강장(2타는곳 2선) ㅣ 출구 2개소 수도권도시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 용유차량기지역 ㅣ 역번호 임시역이라 없음 ㅣ 인천 중구 운서동 소재 2010년 즈음에 영업시작 ㅣ 단선 승강장(1타는곳 1선) ㅣ 출구 (비공식)1개소 이 역의 공식 이름은 용유차량기지역이나, 포스팅 본문에는 친근한 용유임시역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습니다. 워터파크역에서 자기부상 열차를 탄 저는 한쪽 창가..

철도/수도권 2018.07.22

[600 슈] 저 평행한 소실점 속으로 - 인천공항자기부상철도 워터파크역

다녀온 날 : 2016.12.18 전 포스팅(국제업무단지역) > 현재 포스팅(워터파크역) > 다음 포스팅(용유역) 저 평행한 소실점 속으로 - 인천공항자기부상철도 워터파크역 한줄 평 : 간척지라는 인간이 만들어낸 결과물 속에서. 도시철도 인천공항자기부상철도 워터파크역 ㅣ 역번호 M05 ㅣ 인천 중구 운서동 소재 2016.02.03 영업시작 ㅣ 상대식 승강장(2타는곳 2선) ㅣ 출구 1개소 사실 이 포스팅의 제목은 적절하지 않다. '평행한 소실점'이라니, 소실점이라는 것 가체가 평행선들이 모이는 것인데... 사실 소실점이라는 건 세계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우리가 의도적으로 차원을 하나 줄이면서 만들어낸 가상의 점일 뿐이다. 이 글에 들어가기 엎서, 필자인 나는 미술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 사람임을..

철도/수도권 2017.12.26

[800 슈] 국제업무단지에서 파라다이스시티로 - 인천공항자기부상철도 국제업무단지(現 파라다이스시티)역

다녀온 날 : 2016.12.18 전 포스팅(합동청사역) > 현재 포스팅(파라다이스시티역) > 다음 포스팅(워터파크역) 국제업무단지에서 파라다이스시티로 - 인천공항자기부상철도 국제업무단지(現 파라다이스시티)역 한줄 평 : 온통 공사중, 그리고 뜻밖의 지평선. 도시철도 인천공항자기부상철도 국제업무단지역 ㅣ 역번호 M04 ㅣ 인천 중구 운서동 소재 2016.02.03 영업시작 ㅣ 상대식 승강장(2타는곳 2선) ㅣ 출구 2개소#FFCD12 주의!본 역은 인천광역시 고시 제 2017-144호에 따라 국제업무단지역에서 파라다이스시티역으로 개정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다만 본 포스팅에서는 출사 당시 역명인 국제업무단지역으로 언급하겠습니다.[각주:1] 여기 역이 하나 있습니다. 이 역은 앞 역과도 350m밖에 떨어져있..

철도/수도권 2017.12.25

[500 슈] 영종,용유도 매립 및 인천공항 건설사- 인천공항자기부상철도 합동청사역

다녀온 날 : 2016.12.18 전 포스팅장기주차장역) > 현재 포스팅(합동정사역) > 다음 포스팅(파라다이스시티역) 영종,용유도 매립 및 인천공항 건설사 - 인천공항자기부상철도 합동청사역 한줄 평 : 황량했음. 도시철도 인천공항자기부상철도 합동청사역 ㅣ 역번호 M03 ㅣ 인천 중구 운서동 소재 2016.02.03 영업시작 ㅣ 상대식 승강장(2타는곳 2선) ㅣ 출구 2개소 #FFCD12 합동청사역 대합실과 떠나가는 열차 장기주차장역에서 15분에 1대씩만 오는 열차를 탄 저는 그 다음 역인 합동청사역에 하차합니다. 역시나... 내리는 사람은 저가 전부입니다. 그리고 열차가 떠나고 금슴세 승강장은 싸늘해집니다. 하긴 이 자기부상열차를 타러 온 사람들이 놀러 온 것이기에 말이죠. 좀 이상한 눈치가 보이기는 ..

철도/수도권 2017.11.23

[800 슈] 주차장 역세권 - 인천공항자기부상철도 장기주차장역

다녀온 날 : 2016.12.18 전 포스팅(종각역) > 현재 포스팅(장기주차장역) > 다음 포스팅(합동청사역) [800 슈] 주차장 역세권 - 인천공항자기부상철도 장기주차장역 한줄 평 : 주차장 구경에 최적화된 역 도시철도 인천공항자기부상철도 장기주차장역 ㅣ 역번호 M02 ㅣ 인천 중구 운서동 소재 2016. 02. 03 영업시작 ㅣ 상대식 승강장(2타는곳 2선) ㅣ 출구 4개소 ※열차가 운휴,감축 없이 매일 7:32~20:16 정확히 매 15분마다 운행합니다. 참고바랍니다. 16년도 다 쓴 줄 알았는데! 아직 5개역이 남아있었습니다 ㅋㅋㅋㅋ 이런 죈장... 다시 시작해야지.. 뭐 이날은 저의 아~주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하여 인천공항에 놀러오게 되었는데요. 1시간 반여의 여유시간이; 남아(!!!) 15..

철도/수도권 2017.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