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길에 얽힌 만물의 이야기

철길과 관련된 세상 만물의 이야기를 담아보겠습니다

철도/수도권 95

안산 반월역 || 안산선의 간이역

다녀간 날: 2017.08.01 수도권 전철 4호선 (안산선) 반월역 | 역번호 447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건건로 (건건동) 1988.10.25 개업 | 2승강장 2타는곳 (상대식, ㅁ||ㅁ) | 출구 1개소 이번에 둘러볼 역은 안산선 반월역입니다. 이 역부터 안산시에 속하는 역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안산시의 기장 동쪽 구석에 있는 역이라는 소리이기도 합니다. 그나저나 반월하면 반월공단이 유명한데 이건 뜬금없이 안산 서쪽 끝에 있습니다. 행정구역상으로는 이쪽인 반월인게 맞습니다. 혹여나 잘못 내리는 일이 없도록 합시다. [0. 주변지도] 안산이 과거에 시흥시 반월출장소였고, 그 때 지어진 공단이여서 그런 이름이 붙은 것으로 추측됩니다. [1: 반월동 시가지] 버스에서 내리니 반월동(인구: 2만명) ..

철도/수도권 2021.01.26

군포 대야미역 || 해제되는 그린벨트

다녀간 날: 2017.08.01 수도권 전철 4호선 (안산선) 대야미역 | 역번호 446 | 경기도 군포시 대야1로 (대야미동) 1988.10.25 개업 | 2승강장 2타는곳 (상대식, ㅁ||ㅁ) | 출구 2개소 [1. 열차가 정차한 대야미역 승강장] 수리산역에서 고작 한 정거장만 지났을 뿐인데, 아까 전까지 이어졌던 아파트 숲 풍경은 온데간데없고 자연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도착한 역은 바로 군포 대야미역입니다. [2. 승강장] 역 주변에 고층 건물은 온데간데없고 매우 한적한 느낌이 듭니다. 게다가 스크린도어까지 없으니 금상첨화죠. (정확히는 스크린도어 공사 중) [3 승강장 끝 풍경] 아까 수리산역에서 승강장 끝에서 탔기 때문에 대야미역 승강장 끝에 금방 도착할 수 있었습니다. 반대편 승강장..

철도/수도권 2021.01.26

군포 수리산역 || 도중에 생긴 산본신도시 전철역

다녀간 날: 2017.08.01 수도권 전철 4호선 (안산선) 수리산역 | 역번호 445 | 경기도 군포시 번영로 (산본동) 2003.07.18 개업 | 2승강장 2타는곳 (상대식, ㅁ||ㅁ) | 출구 3개소 산본역에서 안산선 전철을 탄 저는 바로 다음역인 수리산역에 내렸습니다. 본격적으로 수리산역을 둘러보도록 하겠습니다. [1: 승강장] 승강장에서는 아직 스크린도어 공사가 한창이었습니다. 겉모습은 다 올렸지만 작동하지는 않고 있었습니다. 문이 활짝 열린 상태로 있기 때문에 승강장에는 주황색 조끼를 입은 안전요원들이 배치되어 있었습니다. [2: 선로] 열려 있는 스크린도어 사이로 선로를 찍어봅니다. 카메라를 최대한 스크린도에 붙여서 찍어봅니다. 스크린도어 밖으로 카메라를 내밀면 안될 것 같아서 그랬는데 ..

철도/수도권 2021.01.26

군포 산본역 || 산본신도시의 중심

다녀간 날: 2017.08.01 수도권 전철 4호선 (안산선) 산본역 | 역번호 444 | 경기도 군포시 번영로 (산본동) 1992.05.01 개업 | 2승강장 4타는곳 (쌍섬식, |ㅁ||ㅁ|) | 출구 4개소 2017년 5월 출사 이후 3개월만에야 이렇게 대형(?) 출사를 떠나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코로나 땜에 날 잡고 출사를 나간 지 1년이 넘었지만 3년 전만 해도 3개월마다 크게 출사를 다녔다는 사실이 꿈만 같습니다. 빨리 코로나가 종식되어서 자주 출사를 나갈 수 있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하여튼 저는 이 날, 안산선과 수인선 구간을 답사하는 출사를 나가게 되었습니다. 반나절동안 무려 30개의 역을 갔다 왔는데 이걸 또 언제 다 올리냐 막막하기만 하네요. [사진 1: 의왕TG] 이 출사의 첫 번째 ..

철도/수도권 2021.01.26

중구 인천국제공항역 || 대한민국의 얼굴

다녀간 날: 2017.07.25 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역 (직통) | 역번호 A10 | 인천 중구 공항로 (운서동) 2007.03.23 개업 | 2승강장 4타는곳 (쌍섬식, |ㅁ||ㅁ|) | 출구 3개소 인천공항자기부상철도 인천국제공항역 | 역번호 M01 | 2016.03.02 개업 | 1승강장 2타는곳 (섬식, |ㅁ|) | 출구 0개소 c.f. 인천공항 2터미널 개통으로 인해서 현재 "인천공항1터미널역"으로 역명이 개정되었습니다. 해외로 나가려는 국민들. 대한민국에 오는 외국인들. 거의 대부분이 아마 요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해서 나갈 겁니다. 명실상부한 대한민국의 얼굴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저 같은 경우도 코로나 터지기 전 까지만 해도 1년에 1번은 꼭 인천공항에 일이 있어서 다녀오곤 했었습니다. 시간..

철도/수도권 2021.01.14

용인 강남대역 || 뭔가 부족한 느낌

다녀간 날: 2017.06.22 용인경전철 강남대역 | 역번호 Y111 | 경기 용인시 기흥구 중부대로 (구갈동) 2013.04.26 개업 | 2승강장 2타는곳 (상대식, ㅁ||ㅁ) | 출구 3개소 [1 열차] 새로운 마음으로 수도권 출사기를 연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갑자기 좀 뜬금없지만, 강남대역에 다녀오게 되었습니다. 왜냐면요, 1. 용인경전철의 역이며, 2. 제가 안 가본 역들 중 두번째로 가깝거든요. 뭐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2017년 말에 용인경전철 전역답사를 하긴 했습니다. [2 승강장] 하여튼 각설하고 승강장부터 둘러보자고요. 역시 용인경전철 역 답게 스크린도어 없이, 경보장치만 있습니다. 선로로 다가가면 경고음이 울리고 주의하라는 안내방송이 나온다고 합니다. 저는 이 안내..

철도/수도권 2021.01.14

[이번역은] 성남 이매역 | 분당선과 경강선의 L자 환승기

다녀온 날: 2017.02.02 수도권광역철도 분당선 이매역 | 역번호 K227 | 경기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 (이매동) 소재 2004.01.16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ㅁ) | 출구 6개소 수도권광역철도 경강선 이매역 | 역번호 K411 2016.09.24 개업 | 2승강장 2타는곳 (상대식, ㅁ||ㅁ) | 출구 3개소 이번에 둘러볼 역은 이매역입니다. 하지만 과거에 갔다 와서 답사기까지 썼습니다. (편입생 - 분당선 이매역) 하지만 저 때 경강선은 공사중이라 못 갔습니다. 오늘 그 한을 좀 간단하게 풀어보겠습니다. S#.1 이번역은 경기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경강선&분당선 이매, 이매역입니다. ◈경강선 승강장 세종대왕릉역부터 타고 온 경강선 열차. 여주에서 종점인 판교역과 가까워 질 ..

철도/수도권 2020.05.17

[이번역은] 여주 세종대왕릉역 | 죽어서 고생하신 대왕님 (Feat. 박정희)

다녀온 날: 2017.02.02 수도권광역철도 경강선 세종대왕릉역 | 역번호 K419 | 경기 여주시 능서면 양화로 (신지리) 소재 2016.09.24 개업 | 2승강장 2타는곳 (상대식, ㅁ||ㅁ) | 출구 1개소 관내의 세종대왕릉(영릉)이 있다는 사실만으로 쌀도 팔아먹고 전국적으로 위세를 떨치고 있는 경기도 여주 · 이천시. 그런데 이 곳은 조선의 법률상 원래 왕릉이 들어 올 수 없는 지역입니다! 그리고 박정희 전 대통령은 갑자기 제목에 등장하신 걸까요. 이 글 맨 끝에 답이 있습니다. S#.1 이번역은 경기 여주시에 위치한 경강선 세종대왕릉, 세종대왕릉역입니다. ◈여주평야 부발역을 출발한 경강선 열차는 다시끔 터널 하나 없는 평야 지대를 달립니다. 그 유명한 임금님표 이천쌀이 나오는 평야압니다. 세..

철도/수도권 2020.05.17

[이번역은] 이천 부발역 | 평야, 쌀, 도자기, 반도체!

다녀온 날: 2017.02.02 수도권광역철도 경강선 이천역 | 역번호 K417 | 경기 이천시 부발읍 신아로 (아미리) 소재 2016.09.24 개업 | 2승강장 4타는곳 (쌍섬식, |ㅁ||ㅁ|) | 출구 1개소 이천역을 출발한 경강선 전철. 그 흔하디 흔하게 보였던 터널은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습니다? 갑자기 드넓은 평야를 질주하기 시작하는 경강선 꼬마열차. (※저는 SK하이닉스 측과 어떠한 인연도 없는 사람입니다) S#.1 이번역은 경기 이천시에 위치한 경강선 부발, 부발역입니다. ◈여주평야가 펼처진 이천 저는 이천시내에서 시내버스를 타고 부발역으로 향했습니다. (이유는 전편 이천역 답사기 참조) 이천하면 생각나는 것은? 임금님표 이천쌀이 떠오르실 껍니다. 전국 대형마트에서 흔하게 볼 수 있기도 하고..

철도/수도권 2020.05.17

[이번역은] 이천 이천역 | 이천의 관문은 머나먼 산속에

다녀온 날: 2017.02.02 수도권광역철도 경강선 이천역 | 역번호 K417 | 경기 이천시 이섭대천로 (율현동) 소재 2016.09.24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ㅁ) | 출구 1개소 드디어 도착한 이천의 관문 이천역! 근데 어째 주위를 둘러보니 아파트는 커녕 산밖에 없습니다?? S#.1 이번역은 경기 이천시에 위치한 경강선 이천, 이천역입니다. ◈상대식 승강장 규모의 이천역 승강장 신둔도예촌역을 출발한 경강선 열차는 드넓은 여주이천평야를 달리는가 싶지만 금방 땅 속으로 들어가 버립니다. 그렇게 열차는 몇분 가량 설봉산 밑을 통과하고서는 터널을 나와 바로 이천역에 정차합니다. 내리는 사람은 좀 좀 있는 편입니다. 2019년 기준 하루에 5489명이 이 역을 이용해 경강선에서 경기광주, 판..

철도/수도권 2020.05.06

[이번역은] 이천 신둔도예촌역 | 옹벽 위는 소리없는 혼잡상태 (주차난)

다녀온 날: 2017.02.02 수도권광역철도 경강선 신둔도예촌(한국관광대)역 | 역번호 K416 | 경기 이천시 신둔면 남정로 (남정리) 소재 2016.09.24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ㅁ) | 출구 2개소 엇! 버스 뿐이던 우리 고장에 전철역이 생겼어요. 전철역까지 가는 버스는 너무 뜸해서 자가용을 타고 갔는데... 주차장이 왜 이모양이죠? S#.1 이번역은 경기 이천시에 위치한 경강선 신둔도예촌, 신둔도예촌역입니다. ◈낮고 음침하고 한산한 옹벽있는 역 곤지암역에서 경강선 4량 전철을 타고 신둔도예촌역에 도착했습니다. 내리는 사람은 다여섯명 정도로 적습니다. 딱 내리자마자 드는 분위기는 바로 '음침함'이었습니다. 역이 어두운 것은 선로 자체가 약간 지표면보다 낮은 곳에 있어서 그런 것 같..

철도/수도권 2020.05.05

[이번역은] 광주 곤지암역 | 뒤바뀐 인지도, 그리고 민폐

다녀온 날: 2017.02.02 수도권광역철도 경강선 곤지암(동원대)역 | 역번호 K415 | 경기 광주시 곤지암읍 곤지암천로 (곤지암리) 소재 2016.09.24 개업 | 2 승강장 4타는곳, ||ㅁ||ㅁ|) | 출구 2개소 여러분은 '곤지암'이라고 하면 뭐가 가정 먼저 떠오르시나요. 아마 근래 개봉한 한 공포영화. 아님 고속도로 상의 지명 등이요. 그러면 '실촌'은 어떠신가요. 오늘은 두 지명에 관한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합니다. 함께 가시죠. S#.1 이번역은 경기 광주시에 위치한 경강선 곤지암, 곤지암역입니다. ◈곤지암역 가는 길 아까 초월역에서 탄 300번 시내버스! 경충대로를 따라 달려 버스는 어느덧 곤지암읍 시가지 앞을 지나갑니다. 바로 앞에 거대한 곤지암역의 형체가 서서히 드러납니다. 무려 ..

철도/수도권 2020.05.05

[이번역은] 광주 초월역 | 지상을 초월한 지하역

다녀온 날: 2017.02.02 수도권광역철도 경강선 초월역 | 역번호 K414 | 경기 광주시 초월읍 경충대로 (쌍동리) 소재 2016.09.24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ㅁ) | 출구 2개소 흔히 우리가 길을 가다가 마주치는 전철역은 한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지상이면 지상. 지하면 지하에만 역이 있기 마련했습니다. 그런데 오늘 가 볼 역은 이 고정관념을 초월했다고 하네요. 함께 가시죠. S#.1 이번역은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경강선 초월, 초월역입니다. ◈ 초월역 승강장 경기광주역에서 다시 전철을 타고 고작 한 정거장을 달려 다음역인 초월역에 도착합니다. 다른 경강선의 역들에서 볼 수 있는 형식의 스크린도어입니다. 요 경강선 역들에는 이렇게 모자이크 벽화가 설치된 것을 쉽게 찾아 볼 ..

철도/수도권 2020.04.15

[이번역은] 광주 경기광주역 | 광주의 옛 중심은 하남이었다

다녀온 날: 2017.02.02 수도권광역철도 경강선 경기광주역 | 역번호 K413 | 경기 광주시 광주역로 (역동) 소재 2016.09.24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ㅁ) | 출구 2개소 현재 경기도 광주라고 하면 경기도 성남 옆의 중견급 도시를 뜻하는 말입니다. 하지만, 과거의 광주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오늘도 한 번 파보겠습니다. 가시죠. S#.1 이번역은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경강선 경기광주, 경기광주역입니다. ◈ 실질적인 프롤로그 (거의) 유일하게 삼동역에 들어오(왔)는 33-2번 시내버스를 탄 필자. 버스는 이상한 호수(?) 옆과 이상하게 생긴 다리 앞을 지나갑니다. 필자의 눈 앞에는 또 다른 거대한 전쳘역이 기다리고 있었으니... 네 바로 오늘 소개할 경기광주역입니다. 두우두둥!..

철도/수도권 2020.04.14

[이번역은] 광주 삼동역 | 터널과 터널 사이

다녀온 날: 2017.02.02 수도권광역철도 경강선 삼동역 | 역번호 K412 | 경기 광주시 순암로 (중대동) 소재 2016.09.24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ㅁ) | 출구 2개소 대중교통이 미약한 경기 동남부의 구원투수와 같은 노선, 광역철도 경강선. 오늘은 이 노선의 역들을 차례차례 답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경강선 특집입니다. S#.1 이번역은 경기도 광주시 중대동에 위치한 경강선 삼동, 삼동역입니다. ◈ 여정의 시작 오늘의 여행기를 시작할 곳은 바로 경강선 판교역입니다. 바로 광역철도 경강선의 서측 종점에 해당되는 역입니다. 4량에, 20분에 한 대 운행하는 경강선의 특성상 이렇게 판교역 승강장에서는 경강선을 타기 위해 서 있는 많은 사람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물론, 이 사..

철도/수도권 2020.04.14

[이번역은] 강남 한티역 | 우리들의 일그러진 언덕

다녀온 날: 2017.02.15 수도권광역철도 분당선 한티역 | 역번호 K216 | 서울 강남구 선릉로 (대치동) 소재 2003.09.03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ㅁ) | 출구 8개소 한티. 큰 언덕이라는 뜻의 순 우리말입니다. 그러나, 그 악명높은 '대치동'의 순 우리말이기도 합니다. 한국 교육의 일그러진 현실이 되어버린 교육특구 대치동. 이번주의 [이번역은]은 이 사교육의 현장으로 떠나보겠습니다. S#.1 이번역은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한티, 한티역입니다. ◈ 붉은 기둥이 인상적인 한티역 승강장 시간은 어느덧 흘러 네시 반이 되었습니다. 네. 일몰에 가까워졌다는 것이죠. 갑작스럽게 시작한 2017년 2월 15일의 서초강남간이출사의 마지막 답사역이 되겠습니다. 바로 도곡역으로부터 한 정거..

철도/수도권 2020.04.14

[이번역은] 강남 도곡역 | 타워팰리스와 편리한 3호선-분당선 환승역

다녀온 날: 2017.02.15 서울도시철도 3호선 도곡역 | 역번호 344 | 서울 강남구 남부순환로 (도곡동) 소재 1993.10.30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 |ㅁ) | 출구 4개소 수도권광역철도 분당선 도곡역 | 역번호 K217 | 서울 강남구 남부순환로 (도곡동) 소재 2003.09.03 개업 | 1 승강장 2타는곳, |ㅁ|) | 출구 0개소 한국 고급 공공주택의 대명사가 된 오피스텔 '도곡동 타워팰리스'. 그리고 그 아래 전철역 '도곡역'에 관한 이야기. 지금바로 시작합니다. S#.1 이번역은 강남구 도곡동에 위치한 도곡, 도곡역입니다. ◈ 남부순환로 상에 (또) 위치한 도곡역 아직 두 역밖에 지나지 않아 생생한 답사의 기운을 담아 도작한 도곡역! 번호가 기억나지 않는 서울시내버스는..

철도/수도권 2020.04.13

[이번역은] 강남 매봉역 | 3호선아, 왜 허리를 펴지 못했니 (3호선 건설사)

다녀온 날: 2017.02.15 서울도시철도 3호선 매봉역 | 역번호 343 | 서울 강남구 남부순환로 (도곡동) 소재 1993.10.30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ㅁ) | 출구 4개소 만약에 여러분이 서울에 놀러 오신다면, 아마 높은 확률로 서울 지하철 3호선과 마주하시게 될 껍니다. 서울의 관광명소인 경복궁, 북촌, 인사동에 가려면 타야 하는 노선. 대표적인 교통거점인 고속터미널과 SRT수서역, 종합 전시장인 킨텍스와 세텍, 젊은층이 모이는 압구정과 신사동 가로수길, 더 젋은 층이 모이는 대치동 학원가까지. 모두 이 3호선의 우산 아래 놓은 곳이죠. 좀 시야를 넓게 볼까요? 서울 근교의 대형 신도시인 분당과 일산을 서울 도심, 강남과 연결하는 역할도 이 3호선이 하고 있(었)습니다. 수도권..

철도/수도권 2020.04.12

[이번역은] 서초 남부터미널역 | 예술의전당 편하게 가는 법

다녀온 날: 2017.02.15 서울도시철도 3호선 남부터미널(예술의전당)역 | 역번호 341 | 서울 서초구 서초중앙로 (서초동) 소재 1985.10.18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ㅁ) | 출구 8개소 아무런 자본도, 명예도 없는 우리같은 서민들이 쉽게 미술을 즐기는 법. 그 중 하나는 서초동 예술의전당을 방문하는 것이겠지요. S#.1 이번역은 서울 서초구 서초동에 위치한 3호선 남부터미널, 남부터미널(예술의전당)역입니다. ◈서초강남간이출사 시작! 제가 서울동남부출사라고 명명했고 약 3년동안 글쓰기를 미뤘던 17년 1월 21일의 출사기를 마무리하고 쓰는 첫 포스팅입니다. 상당히 가뿐한 느낌입니다. 하지만 밀린 3년의 사진들을 보니 마냥 홀가분하지는 않아요. 뭐 열심히 달려가야죠. 하여튼 이날..

철도/수도권 2020.04.02

[이번역은] 강남 삼성역 | (주의!) 모 대기업과는 무관함

다녀온 날: 2017.01.21 서울도시철도 2호선 삼성(무역센터)역 | 역번호 219 | 서울 송파구 테헤란로 (삼성동) 소재 1982.12.09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ㅁ) | 출구 8개소 삼성역. 하루에 타고 내리는 사람만 12만명으로 서울에서 열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역이니 설명은 다 했어요. 근데 말이에요. 역 이름이 뭔가 일상생활에서 많이 들어보지 않았나요? 특히 휴대폰 만지면서요 S#.1 이번역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삼성, 삼성(무역센터)역입니다. ◈ 삼성역 주변구경 봉은사역에서 강남6번 마을버스를 타고 삼성역에 도착했습니다. 너비 50m짜리 영동대로가 역시 눈 앞에 펼쳐저 있습니다. 그리고 그 뒤에는 삼성역교차로가 있지요. 삼성역의 출구는 교차로를 빙 ..

철도/수도권 2020.03.15

[이번역은] 강남 봉은사역 | 그깟 역 이름... 종교 갈등으로 번진 역명 '봉은사'

다녀온 날: 2017.01.21 서울도시철도 9호선 봉은사역 급행정차 | 역번호 930 |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 (삼성동) 소재 2015.03.28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ㅁ) | 출구 7개소 서울 지하철 노선도를 펴고 강남 부분을 잘 들여다 보면 웬 '봉은사'라는 사찰 이름이 눈에 들어옵니다. 일단 강남 시내 한복판에 사찰이 있다는 것은 그렇다 쳐도 서울의 중심에 있는 지하철역의 이름이라는 건 그 과정이 뭔가 원만치 않았을 것 같은 냄새가 스멀스멀 나죠? 이 냄새의 원인을 규명해보겠습니다. cf. 중간에 글 쓰다가 날려먹어서 처음부터 다시 써요 ㅠㅠ S#.1 이번역은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봉은사, 봉은사역입니다. 계속해서 9호선 급행열차를 이용하실 고객께서는 이번 역에서 열차를..

철도/수도권 2020.03.15

[이번역은] 송파 종합운동장역 | 야구장 반짝특수

다녀온 날: 2017.01.21 서울도시철도 2호선 종합운동장역 | 역번호 218 |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 (잠실동) 소재 1980.10.31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ㅁ) | 출구 8개소 서울도시철도 9호선 종합운동장역 급행 | 역번호 930 |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 (잠실동) 소재 2015.03.28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ㅁ) | 출구 1개소 종합운동장역. 이름부터 스포츠의 냄새가 줄곧 풍기는 역입니다. 그러니까 스포츠 이야기를 좀 해야겠죠. 이번에는 스포츠와 교통입니다. S#.1 이번역은 송파구 잠실동에 위치한 종합운동장, 종합운동장역입니다. ◈ 승강장도 운동장 너비, 2호선 승강장 짜잔. 잠실나루역에서 전철을 타고 종합운동장역을 왔어요. 원래 잠실새내역을 들렀어야 했나 깜..

철도/수도권 2020.03.14

[이번역은] 송파 잠실새내역 | 한강을 건넌 땅, 잠실 (2)

다녀온 날: 2017.01.21 서울도시철도 2호선 잠실새내역 | 역번호 217 |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 (잠실동) 소재 1980.10.31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ㅁ) | 출구 8개소 한강을 건너는 방법은 참 다양합니다. 걸기. 수영하기, 차타기, 버스타기, 전철타기, 비행기타기 등 나만의 무궁무진한 방법으로 건널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건 어때요? 내가 서 있는 땅 전체가 한강을 건너는 겁니다. 참신하죠? 하지만 이것은 바로 이곳, 잠실에서 몇백 동안 실제로 벌어졌던 일입니다. S#.1 이번역은 송파구 잠실동에 위치한 잠실새내, 잠실새내역입니다. ◈ 잠실새내역 승강장 이모저모 잠실새내역에 도착했습니다. 내려서 승강장에 사람들이 다 빠져나갈때 까지 기다렸다가 여김없이 사진을 찍어줍니다. 전..

철도/수도권 2020.03.13

[이번역은] 송파 잠실나루역 | 잠실, 상전벽해의 진주인공 (1)

다녀온 날: 2017.01.21 서울도시철도 2호선 잠실나루역 | 역번호 215 | 서울 송파구 오금로 (신천동) 소재 1980.10.31 개업 | 2 승강장 2타는곳, ㅁ||ㅁ) | 출구 4개소 상전벽해라는 고사성어를 알고 계시나요? 직역하면 뽕나무밭이 변하여 푸른 바다가 된다는 뜻으로, 세상일의 변천이 심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근데 이 말이 딱 맞는 곳이 있습니다. 실제로 뽕나무밭에서 푸른 강이 됬거든요. 바로 우리가 지금 둘러 볼 잠실지구입니다. S#.1 이번역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에 위치한 잠실나루, 잠실나루역입니다. ◈ 아파트 사이 숨겨진 전철역 강동구청역에서 30-3 버스를 타고 향한 곳은 다름아닌 잠실나루역(舊 성내역)입니다. 분명 잠실나루역이라고 해서 내렸는데, 역은 안 보..

철도/수도권 2020.03.10